Biz Life

안구 건조증 가을철에 급증 … 컴퓨터 작업 오래하면‘눈물 마른다’ 

헤어 드라이어 등 사용 줄여야 

외부기고자 고종관 중앙일보 기자 kojokw@joongang.co.kr
건성안 증후군은 쌀쌀하고 건조한 날씨에 늘어나기 쉽다. 건성안 증후군 환자가 진료받고 있다. 고종관 중앙일보 기자.쌀쌀하고 건조한 날이 계속되고 있다. 요즘 같은 계절에 부쩍 늘어나는 질환이 건성안 증후군(안구 건조증)이다.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 아프고, 시리거나 타는 느낌 때문에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한다. 이때 눈물샘에서 눈물이 울컥 쏟아지므로 본인은 눈물이 많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어떤 환자는 눈이 가렵고 끈적거리는 분비물이 나온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건성안은 의외로 많다. 10대에선 50%, 20대 83%, 30대 이상에선 95.5%가 한 번 이상 건성안 증상을 보이고, 이 중 10∼15%가 치료 대상으로 추정될 정도다.



눈의 표면을 덮고 있는 얇은 눈물층은 크게 지방층·수성층·점액층 등으로 나뉜다. 우리 눈꺼풀 속에는 두 종류의 눈물샘이 있다. 슬프거나 눈에 자극이 왔을 때 나오는 눈물, 즉 반사성 눈물은 주눈물샘에서 만들어진다. 수분이 많아 수성층을 이룬다. 기름 성분이 있는 눈물(지속성 눈물)은 부눈물샘이라는 곳에서 나온다. 눈이 느끼지 못할 정도로 조금씩 나오면서 눈의 표면을 보호하고, 영양을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점액 성분은 각막과 결막의 술잔세포에서 분비된다. 이렇게 두 눈물샘과 각막 표면에서 만들어진 눈물은 코 옆쪽 눈가에 위치한 눈물점→눈물관→눈물낭을 거쳐 비루관을 통해 코로 빠져나간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583호 (2021.05.0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